PBR 수치를 투자에 활용할때는 기본적으로 저 PBR 주식을 찾아서 투자합니다.
저 PBR 주식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가치보다 낮다고 생각하고, 이는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PBR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ROE와 자기자본 비용의 차이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가 자기자본 비용보다 계속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은 순자산가치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될 것입니다. 수익보다 비용이 많다면 자기자본을 계속 잠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주당순자산 = 주당장부가치(주식 순자산을 유통 주식수로 나눈 값)
주식의 장부가치는 회계사가 평가한 주식의 가치입니다. 대개 회계사의 신뢰성이 어느 정도 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도, 투자자는 회계사가 제공하는 주식의 장부가치가 시장 가격보다 더 보수적이고 현실적인 주식의 가치라고 믿습니다. 시장 가격은 변덕스러운 분위기에 좌우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훨씬 낮은 주식은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높은 주식은 고평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습니다. 회사의 부실 투자나 높은 위험 탓에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내려간 주식도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ROE가 낮고, 위험이 크며, 기대 성장률이 낮은 주식일수록 PBR이 낮다고 보아야 합니다. 이런 기업이 좋은 기업일 확률은 극히 낮을 것입니다.
저 PBR주 투자 전략의 가장 중대한 한계는 저 PBR주의 현재 ROE는 물론 미래 예상 ROE가 낮아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ROE가 낮은 주식은 PBR도 낮기 마련입니다. 요컨대 저 PBR주에 투자하려면 ROE가 적당하면서 위험이 크지 않은 저 PBR주를 찾아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저 PBR주에 투자할 경우에는 통찰력을 발휘해 위험은 낮고 ROE는 높은 저 PBR주를 찾아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부채 비율이 낮아서 파산 위험이 적고, 미래 예상 ROE가 계속 성장하는 기업을 찾아낸다면, 위험은 낮고 ROE는 높은 저평가 저 PBR주에 투자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저 PBR 주식에 투자하는 원리와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부족하지만, 투자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출처 : 다모다란의 투자 전략 바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