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기침체2

은행파산? 신용위기? 위기는 정말 올까? 이번 주에 미국 로컬은행 SVB 파산과 크레딧 스위스 위기까지, 금융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얘기들로 뉴스와 유튜버들까지 무척 시끄러웠죠. 뉴스만 보고 있으니, 이거 이제라도 주식을 정리해야하나? 진짜 대폭락 오나? 이런 생각이 스멀스멀 올라옵니다. 그래서 공포 & 탐욕 지수도 오랜만에 찾아보니, 빠르게 공포쪽으로 움직였습니다. 극도의 공포 상태입니다. 우와, 이거 또 대폭락 오나? 경기침체 드디어 오는 건가? 진짜 손절해야 되나? 할거면 진작 할걸... 아... 뭐지? 어떡하지? 온갖 부정적인 생각과 본전 생각들로 엄청난 짜증과 스트레스가 몰려오는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마침 제가 좋아하는 투자가인 Mark Minervini 가 트윗을 올렸네요. 핵심을 요약하자면, "야! 너 좌절중이지? 너 호구야.. 2023. 3. 16.
경기침체는 온다? vs 오지 않는다? 최근 거시경제에 대한 뉴스를 보면, 경기침체에 대한 의견이 많이 엇갈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경착륙, 연착륙, 최근에는 No Landing 얘기도 나왔구요. 또, 이미 경기침체는 왔는데, 영향이 미미하다는 의견도 어디선가 본 기억이 있네요. 도대체, 경기침체가 온다는 걸까요? 오지 않는다는 걸까요? 아니면 이미 경기침체인데 사회에 별 영향이 없는 걸까요? 투자를 하고 있다보니, 궁금해서 유명한 지표들을 찾아 봤습니다. 1. 미국 ISM 제조업 지수 ISM 지수가 50 이하로 내려가면 경기수축 국면에 들어가고 수축이 오래될 경우 대부분 경기침체가 발생했습니다. COVID19 팬데믹 이전과 2008년 금융위기 이전에도 ISM 지수가 상당기간 수축국면에 있었고, 2023년 들어서 수축국면에 들어간 것이 확인됩니.. 2023. 3. 4.
반응형